Database for Everything

[삼성 SDS Brightics] Brightics 서포터즈와 함께 코딩없이 Kaggle Competition 도전하기!_영상 제작 BTS(Behind The Scene)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[삼성 SDS Brightics] Brightics 서포터즈와 함께 코딩없이 Kaggle Competition 도전하기!_영상 제작 BTS(Behind The Scene)

Yeenn 2021. 8. 23. 22:15
728x90

 

 

 

안녕하세요 Brightics 서포터즈 yeenn입니다!

 

드디어 팀 프로젝트도 점점 마무리가 되어가고 있는데요, 

벌써 저희 3조 Brightic3와 함께 할 날이 머지않아 시원섭섭한 감정이 드는 요즘입니다..ㅎㅠ

 

 

 

이번 주 포스팅에서는 팀분석프로젝트의 영상 제작 과정을 담아보려고 하는데요!

 

 

사실 여력이 되었다면 지난 홍보영상 때처럼 대면촬영을 진행했을 건데..

(갑분홍보..ㅎㅎ)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GjWg866IvYE 

 

 

거리두기 단계가 한달 이상 4단계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

대면으로 촬영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매우 힘들어진 상황이 되었습니다,,

 

 

그래서 정해진

 

이번 프로젝트 영상의 컨셉은??

"비대면 수업"

입니다!

 

 

 

 

Brightic3 팀 분석 프로젝트 계획서 초안

 

 

 

확정된 프로젝트 계획서 초안에도 본 프로젝트의 영상컨셉은

튜토리얼 영상 제작이라는 목적에 맞게

교수님이 학생들에게 Brightics의 사용법과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강의형 컨셉이었는데요,

 

이후 몇 차례 회의를 통한 수정을 거쳐 최종적인 영상 제작방향이 확정되었습니다!

 

 

앞서 팀분석 프로젝트 관련 포스팅을 살펴보면, 

 

https://yeenn-db.tistory.com/24

 

[삼성 SDS Brightics] Brightics 서포터즈와 함께 코딩없이 Kaggle Competition 도전하기!_데이터 전처리①

안녕하세요, Brightics 서포터즈 yeenn입니다! 드디어! Brightic3의 팀분석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. Brightic3의 팀분석프로젝트 주제는 "Kaggle의 Houseprice 데이터를 활용한 집값예측+Kaggle Competition..

yeenn-db.tistory.com

https://yeenn-db.tistory.com/25

 

[삼성 SDS Brightics] Brightics 서포터즈와 함께 코딩없이 Kaggle Competition 도전하기!_데이터 전처리, EDA,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GjWg866IvYE 시작하기 전 홍보..!ㅎㅎㅎ 드디어 저희 3조 Brightic3의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 완료되었습니다! 사실 업로드는 n일전에 되었지만..블로그 홍보는 처음이네요!!..

yeenn-db.tistory.com

https://yeenn-db.tistory.com/26

 

[삼성 SDS Brightics] Brightics 서포터즈와 함께 코딩없이 Kaggle Competition 도전하기!_Regression Model 적용, K

안녕하세요! Brightics 서포터즈 yeenn입니다. 이제 Brightic3의 마지막 팀 활동 팀분석 미션도 거의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중인데요! 분석 프로젝트 마무리와 더불어 튜토리얼 영상을 제작해야

yeenn-db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Data 설명 - Data Load - Data Preprocessing - Data Modeling - Result

순으로 분석 프로젝트 과정이 정리되어있는데요, 

 

이 구성을 뼈대로 두고, 세부적인 목차들을 추가한 후, 

 

 

 

 

 

영상의 목차를 4 part로 나누었습니다!

 

 

 

이번 Brightic3의 영상에서는 총 4명의 교수님(?) 이 등장합니다!

강의자로 정정할게요..교수님이라는 말은 조금 많이 찔리네요..ㅎㅋ

 

영상은

주차 별로 분석 단계에 따라 각 파트별 강의자가 해당 목차의 분석방법에 대해 학습자에게 알려주는 형식인데요, 

아래는 영상에 사용할 목차 화면의 일부입니다!

실제 비대면 인터넷 강의를 듣는 듯한 느낌을 주려고 노력했어요:> 

 

 

 

 

제가 맡은 파트는 가장 마지막 파트 part.4 인데요!

 

 

녹화영상에는

 

최종 분석 결과 table을 다운받고,

다운 받은 결과표를 바탕으로 submission file을 만들어 Kaggle에 제출하고

점수와 순위를 확인하는 방법까지의

 

전 과정을 담았습니다! 

 

 

 

이제는 Brightic3의 회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Google Drive에 

각자 맡은 part의 녹화영상을 올려두고, 지금 편집을 진행중에 있는데요!

 

 

 

 

(한 땀 한 땀 받아적은 대본.. 원래 말하면서 이렇게 추임새를 많이 썼었나 싶어 놀랐습니다ㅋㅋㅋㅋ)

 

 

 

#Behind The Scene

 

 

 

↑ 처음 강사진 소개용으로 참고할까 하던 자료들...

 

양심(?)의 문제로 교수 → 강사로 가상의 역할을 바꾸고,,

 

그럼, 인터넷 강의를 진행하시는 강사분들의 프로필을 참고해보자! 해서 찾아놓은 레퍼런스 자료들인데요, 

정장을 입고..미소를 머금은 채 프로필을 촬영하여 영상에 삽입하는 과정이 상당히 부담스럽다는 의견이 많아서ㅋㅋㅋㅋ

취소되었습니다.

 

 

 

이번 영상은 다소 요란했던(ㅎㅎ) 앞서 홍보영상과는 다르게 조금 더 차분하고 정돈된 느낌의 강의 영상인데요!

 

누구나 다운받을 수 있는 Kaggle data로 분석 과정을 천천히 따라하며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,이를 바탕으로 Kaggle competition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끔 영상을 제작중이니 많은 기대바랍니다!!ㅎㅎ

 

 


 

 

본 게시물은 Brightics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된 포스팅 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Comments